먼저 플스롬 립버젼이란,
용량을 최소화 해서 컴퓨터 에뮬에서 돌릴때 무리 없이 돌릴수 있고
편하게 공유할수 있게끔 (음성삭제 등) 만들어진 롬 이미지이다.

100% 확인 방법으로는 구워서
플스에 넣고 구동시켰을때 플스가 인식을 못하면 ㅡㅡ;;
그건 100% 립버젼이다.

립버젼 구분 방법에는 확실한 방법은 위에꺼 말고는 없지만
대충 추측은 가능하다.

1. 출처가 불분명하다.
2. ISO, bin 이렇게 단일 파일로만 있으면 립버젼일 확률이 높다.
3. 용량이 200메가 밑이다.
   가끔 완전한 파일인데 용량이 작은 게임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립버젼 롬이미지는 20~180메가 안으로 만들어져 있다.
4. 용량이 적은 LCD단일파일

필자생각이지만 그냥 용량이 작으면 굽는거 보다 그냥 이미지로 에뮬을 돌려
게임을 하고 마는게 낳을지도 모른다. 700메가짜리 씨디에 200메가만 굽기도 아깝고;;

5. 이미지를 마운트(씨디롬에 삽입) 했을때 네임(불륨레벨)이 없다.
궂이 마운트를 안하고 ultra ISO 같은 이미지추출 프로그램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와 같은 방법으로 립버젼의 유무를 추측할수 있다.

보통씨디 볼륨라벨은 플스 씨디 번호로 되어있다 ex) SCPS_XXX.XX


ultraISO무설치 다운로드 http://psx1.tistory.com/17

|

간혹 bin 파일만 있다던가 img 파일만 있는 경우
구울려고 하면 참 난감하다.

메모장을 열어서 cue을 만들수 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씨디를 굽고 플스에 넣었을때 될지 안될지는 완전 미지수 이다.

cdmage 라는 프로그램으로
cue파일을 생성해보자.

앞에서 말했던 그란디아1 1cd 파일로 설명하도록하겠다.
볼래 cue파일은 다른곳으로 옮겨놓고 bin파일만 있는거로 만들고
cdmage를 실행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빨간네모로 표시되어 있는 오픈 버튼을 누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일형식을 Raw Image로 맞춘후 꼭이다!!
cue파일을 만들 이미지(bin, img)를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1번의 CDROM 으로 맞추고
2번의 Detect를 누르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일명과 확장자가 bin파일에 맞춰서 정해지며 이용자는 저장을 bin파일이 있는곳에 하면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모장에서 열어서 본 cue파일의 정보이다.
아래 처럼 CDimge로 생성한 파일에는 경로까지 포함되어 있으나,
어짜피 한폴더에 같이 있기 때문에 지우고 다시 저장을 하던가
구운후 삭제를 하더가 상관은 없다. 하지만 계속 이미지로 소장하려면 오리지날처럼
경로를 단일화 하는게 좋다.



CDmage로 cue파일이 생성이 안되는 플스이미지는
아무리 열심히 해서 구워도 플스가 인식할 확률이 아예 적다.


CDmage 다운로드 http://psx1.tistory.com/16
|

NationGuy's Blog is powered by Daum & tistory